2025년 정부는 물가상승과 경기침체 상황에서 국민 생활안정을 위해 민생회복지원금을 전 국민 대상으로 지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여기서 심도있게 생각해야 할 것이 바로 ‘건강보험료 상위 10%’ 입니다.
해당되는 분들의 경우 2차 지급에서 제외된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맞벌이의 가정을 고려해봐야 할 것입니다. 하여 본 글에서는 민생회복지원금 맞벌이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급 금액 및 대상
소득 수준과 취약계층 여부에 따라 15만원부터 최대 52만원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일반 국민 대부분은 25만원을 받게 됩니다.

상위 10% 판단 기준
정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소득 수준의 지표로 활용하여 상위 10%를 선별합니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기준이 다릅니다.
기준 설정 이유
정부가 건강보험료를 상위 10% 선별 기준으로 선택한 배경에는 행정 효율성과 형평성 확보라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 내역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소득과 재산 종합 반영: 직장가입자는 급여 기준, 지역가입자는 소득+재산+차량 등 반영
- 행정 효율성: 별도 소득조사 없이 기존 DB로 즉시 선별 가능
- 정책 연계성: 코로나 재난지원금 등과 동일 기준 적용
- 형평성: 예산을 진정 필요한 계층에 집중 배분
2025년 기준 추정치
그렇다면 상위 10%에 해당하는 분들은 월보험료를 얼마나 납부할까요? 2025년을 기준으로 현재까지 공개된 여러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정치를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최종 기준은 정부 공식 발표를 통해 확정될 예정입니다.
- 직장가입자: 월 본인부담 보험료 약 27만원 이상
- 지역가입자: 월 보험료 고지서 총액 약 21만원 이상
민생회복지원금 맞벌이 가구기준
본 글의 주제인 민생회복지원금 맞벌이 가구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맞벌이 부부는 개인별이 아닌 부부 건강보험료 합산으로 상위 10%를 판단합니다. 그 말인 즉 한 명만 소득이 높아도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부부 건강보험료 합산 적용
맞벌이 부부의 경우 각자의 건강보험료를 더한 합산 금액으로 가구 전체의 경제력을 평가합니다. 이로 인해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 개인별이 아닌 부부 건보료 합산으로 가구 전체 경제력 판단
- 한 명만 소득이 높아도 합산 건보료가 상위 10% 기준(약 48만원) 초과 시 지원금 제한
- 반대로 한 명이 상위 10%여도 합산 기준 미만이면 일반 지급 대상
예시 상황
- 남편(직장가입자) 20만원 + 아내(지역가입자) 35만원 = 55만원 → 상위 10% 해당 가능성
본인 지급 대상 확인 방법
건강보험 고지서를 통해 본인이 상위 10%에 해당하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자 유형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 직장가입자 : 건강보험 고지서에서 본인 부담금이 27만원 이상이면 상위 10% 가능성
- 지역가입자 : 고지서 총 납부액이 21만원 이상이면 상위 10% 가능성
- 맞벌이 가구 : 부부 건보료 합산이 48만원 이상인지 확인

민생회복지원금 지역별 신청 지급방법
민생회복지원금 쿠폰신청에 있어 모두가 똑같이 신청하고 지급받겠지만 지역별 차이는 있습니다. 서울과 경기, 부산, 인천이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조금 다른데요.
이 점을 알고 있다면 보다 여유롭게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관련하여 아래 글에서 내용을 담고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확인해 보셔도 좋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민생회복지원금 맞벌이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의 상위 10% 기준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종적인 지급 기준은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요. 이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지급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