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조성 투입되는 인력 수! 이정도일 줄이야.


왕릉은 도심 속 대중교통 이용만으로도 구경이 가능할 만큼,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위엄에 사료잡히게 되는데요. 여기서 궁금해지는 것이 있습니다. “왕릉 하나 만드는데 몇 명이 일했을까?” 입니다.

왕릉조성-투입되는-인력-썸네일

본 글에서는 왕릉의 형태와 왕릉조성에 투입된 인력 수에 대해 알아보는 내용을 담고 있으니 궁금하셨던 분들은 아래 이어지는 내용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 왕릉의 형태

조선시대 왕릉은 왕과 왕비를 함께 묻는 합장릉으로 조성되었습니다. 합장릉은 ‘동문이실’의 형태이며, 그 모양을 살펴보면 사각형의 지하광을 둘로 쪼개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그렇게 구분된 두 개의 석실 천장에는 하늘의 일월성신과 은하가 그려졌는데요. 네 벽면에는 동서남북에 따라 사신도가 그려졌습니다.


동쪽에는 ‘청룡’ 서쪽에는 ‘백호’ 북쪽에는 ‘현무’ 남쪽에는 ‘주작’이 자리를 잡게 됩니다. 그리고 남쪽방향에는 여닫이 형태의 문이 위치를 하고 있습니다.

왕릉조성-투입되는-인력-청룡-조선고적도보
@ 청룡 조선고적도보

조선시대 왕릉에 변천사에 있어 세조의 유언이 큰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세조 이전의 무덤내부는 석실로 조성이 되었는데요.


이런 관습 속에서 세조는 유명무실한 것이 석실이기에 마련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때문에 세조 이 후 부터의 왕릉은 석실이 아닌 ‘회격묘’로 전환을 하게 됩니다.


◐ 회격묘(灰隔墓)란?

회격묘란 모르타르! 일명 ‘모탈’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묘를 말합니다. 조선시대 당시 모르타르의 재료로는 ‘석회’ ‘숯’ ‘가는 모래’ ‘황토’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 왕릉조성에 투입되는 인력 수

그렇다면 이런 회격묘 조성에 투입되는 인력 수는 어느정도 였을까요? 이에 대한 답은 약 3천명입니다. 이전 석실에 투입되었던 인력이 6천명이 것에 비하면 절반으로 줄어든 결과라 할 수 있는데요.


태조 ‘건원릉’을 예로 살펴보면 충정도에서 3천 5백명, 황해도에서 2천명, 강원도에서 5백명. 모두 합쳐 6천명 입니다. 그렇다면 기간은 얼마나 걸렸을까요? 이에 총 4개월이 걸려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천명 보다 더 많은 인력이 투입된 능도 있습니다. 바로 세종의 어머니 원경황후의 ‘헌릉’이 그러한데요. 경기도, 충청도에서 각각 3천명! 강원도,황해도에서 각각 2천명, 수군 4천명 그 외 도합 총 1만 4천명 입니다.




지금까지 왕릉조성에 투입된 인력 수를 주제로 관련된 이야기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렇게 인력이 어마어마하게 투입되었기에 이장은 생각지도 못할 거 같은데요. 그럼에도 왕릉의 이장은 이루어졌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영릉’ 입니다. 영릉은 세종과 소헌왕후의 합장릉 인데요. 문종의 짧은 재위와 단종의 왕위찬탈! 여기에 풍수의 이유로 처음에는 경기도 광주 대모산에 위치해 있다가 여주로 자리를 옮겼다고 합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